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국내 탈모증 환자는 2020년 기준 23만3000여명에 달한다. 남성이 약 13만3000명으로 57%를 차지했으며, 연령별로는 ▲30대 22.2% ▲40대 21.5% ▲20대 20.7% 순으로 나타났다. 이 통계에 덧붙여 탈모 제품 사용, 모발이식, 원형탈모, 두피염 등으로 범위를 확대하면 거의 1000만명에 달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다. 탈모 인구가 증가하면서 탈모 치료에 대한 관심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주의할 점은 탈모라고 해서 증상이나 치료 방법이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탈모는 크게 모낭의 유지·파괴 여부에 따라 나뉘는데 모낭 자체가 파괴된 흉터성 탈모증의 경우에는 모낭세포가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치료, 탈모약 등으로는 회복이 어렵다. 모발이식만이 사실상 유일한 치료법이다. 이에 비해 남성·여성형 탈모증이나 원형탈모증, 휴지기 탈모증 등은 치료가 가능하다. 따라서 탈모 증상이 나타난 경우라면 탈모 전문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통해 원인과 치료법을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여러 탈모 증상 가운데 정수리 탈모는 남성과 여성에게서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중년 이상의 여성뿐만 아니라 최근 20~30대 젊은 여성에게서도 제법 흔히 발견되는 여성형 탈모는 정수리를 가운데 부위가 좌우로 갈라지는 것처럼 모발이 가늘어지고 모발의 수가 줄어드는 양상을 보인다. 반면 남성의 경우 정수리 쪽의 머리카락이 빠지면서 한가운데를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펴져나가 둥글게 번져가는 증상으로 나타나며 때로는 M자 탈모와 동시에 진행돼 합쳐지기도 한다. 이 같은 남성·여성 정수리 탈모는 서서히 진행되다 보니 탈모가 상당 부분 진행된 이후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초기 단계라면 탈모약이나 두피주사 등으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증상이 이미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서는 모발이식이 보다 효과적이다.
▲ 이상욱 원장 (사진=모리의원 제공)
모발이식에는 후두부를 절개해 이식을 하는 방식과 후두부 절개 없이 모낭을 직접 하나씩 채취하고 분리하는 비절개 방식 두 종류가 있다.
절개법은 약간의 절개선이 남지만 생착률이 조금 더 높고, 비절개법은 생착률은 조금 낮으나 흉터선이 남지 않는 장점이 있다. 다만 비절개식은 흉터선 대신 모발을 뽑아낸 자국이 수천 개가 남아 짧은 머리를 평소 원하는 이들은 자국이 비쳐 보일 수 있어 오히려 절개식이 낫다.
그리고, 후두부 밀도가 적은 상태에서 무리하게 수술하면 후두부 공여부가 사라져 수술 부위가 드러나기도 하고 모낭이 건강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식률이 높아도 모낭 획득률이 낮아져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모발이식 후에도 생활습관 개선 및 꾸준한 치료 등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뤄져야 생착률을 높일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모리의원 이상욱 원장은 “모발이식의 방법, 즉 절개식과 비절개식은 각각 장단점이 있으므로 미리 혼자서 수술방식을 결정하지 말고 이식 경험이 많은 의사와 충분히 상담 후 결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모발이식 후 약 10일은 모발 생착을 좌우하는 골든타임이라 할 수 있다.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을 통해 모발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시술 부위의 자극을 피해야 한다”며, “2주 경과 후에는 평소처럼 생활하되 탈모약을 꾸준히 복용하고 금연, 운동 등 올바른 생활습관을 기르면 더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기사출처 : https://mdtoday.co.kr/news/view/1065596942460368